전체 글 213

찾아가서 PE부팅 (LookingPeboot)

PE에서 PE를 찾아서 부팅 사용 빈도가 얼마나 될지는 의문이지만, 우선은 Windows 폴더에 Boot 파일들이 있어야 boot.sdi를 PE곁에 생산하네요 Legacy UEFI 둘다 가능해졌습니다. Boot.7z 그리고 미니화 되면서 빠진 파일을 채워 줘야하는데 우선 테스트 삼아 추출한 필요파일 입니다. SysWOW64 폴더에 있어야 TBWinPE.exe가 작동 합니다. DISM이 핵심이더군요 SysWOW64.7z 두가지 방법중 폴더에서 선택하는 방식 입니다. 이 폴더를 풀어서 어느 위치에서든 실행하면 실컴에서처럼 찾아서 부팅이 됩니다. 이 방식의 핵심은 하이킥님의 스크립트에서 발췌했습니다. 가림막 처리됨은 이해 해주시고요 -표시는 가림막 적용을 의미 합니다. LOG 파일은 수동으로 지워주는것이 빠르..

PE 관련 2022.02.06

HKboot에 담아본 2종 소개

쉬는날, UEFI //Regacy 둘다 Admin PE가 디폴트이며 경우에 따라서 선택 부팅하도록 레거시 메뉴에는 SystemPE + Admin PE 그리고 퇴물 Ghost 추가 UEFI 메뉴에는 기본 2종 늘상 봐오던 System PE 이고요 Admin PE를 추가한 이유는 공유를 어쩌다가 사용할일이 있을것도 같아서 작업줄에 공유시작을 누르면 탐색기 딜레이 때문에 스톱시켰던 "LanmanWorkstation" 이 시작되면서 네트워크 창이 한번에 열리도록 해부럿습뇌돠 그런 이유로 탐색기 재시작 딜레이는 없고 공유는 공유대로 됩니당 PE 부팅 뼈대 입니다.

PE 관련 2022.01.30

DISMOneKeyBR

실컴에서 윈도우를 백업하고 복원은 PE에서 작업하는 방식의 DISM 백업 도구를 소개합니다. Wim파일로 백업이 되므로 수정이 가능하며 백업된 파일이 wim 이라서 설치도 가능합니다. 백업은 인덱스 5개까지 가능하며 6번째는 원본이 날짜 시간 이름으로 바뀌고 새롭게 백업되는 증분 백업 방식 입니다. 또한 5개의 증분 백업된 파일을 가지고 인덱스를 선택해서 하나를 추출 할 수도 있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PE 관련 2022.01.21

AOMEI Backupper 구동 관련

경량화된 PE에서 초기구동부터 안되고 백업시 Error 메세지 4140 발생 Aomei Backupper 6.8.0을 구동 하려고 하다보니 System32\drivers\tcpip.sys가 꼭 필요하며 System을 3으로 하이브 했다는 가정하에 아래의 서비스 레지와 없으면 초기구동 불가 없으면 Error 메세지 4140 발생 SysWOW64폴더에 두개파일 부족 이것은 이미 알려진대로 System32폴더에 삼총사 파일 ambakdrv 3종 파일이 있어야 되는군요 KJ님 빌더에는 이미 갖춰져 있습니다. 물론 애초에 솎아낸 제가 잘못한 일이었지만 Aomei Backupper 사용시 참고해보세요 저는 생전 처음 사용해봤습니다.

PE 관련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