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3

Bios+전원+안전모드(Test ver)

Fast Boot에 체크된경우 Bios진입이 어려울때 사용하는 용도 같습니다. 안전 모드 명령 추가 해봤슴돠 bcdedit /set {current} safeboot minimal ,0,True 관리자 권한 부여 사용이 아닌경우를 대비 전체적으로 엉성하지만 간단한 배치파일로 구성했고 관리자 권한 실행을 해주다보니까 메뉴마다 실행시 CMD창이 나타납니다. 차후 개선키로 하고 썹쓰 용도로 사용해보세요, 포맷직전 OS상에서 1회용으로 적용하면 적합할것 같습니다. 만인의 시스템에서 잘되어야 할텐데.. 잘될지? 뭔가 안되면 제거.cmd로 삭제해버리세요 큰이상이 생길만한것은 없습니다. 안전 모드를 선택 클릭하면 그림처럼 안전모드에 체크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안전 모드 부팅후에는 꼭 우클릭 메뉴로 컴,재시작이나 컴,종..

윈도우 관련 2020.07.29

DISM 원키 백업 복원 PE

OS 백업 복원툴 어떤 드라이브에든 어떤 폴더에든 넣어두고 멀티 등록 하여 두번 클릭쯤으로 설치된 윈도를 백업 또는 복구 하기위한 300+ mb 짜리 단순 PE 입니다. (무작위로 파일 줄이기를 했기에 다른 용도로는 사용 할 수가 없습니다.) 실컴에서 우클릭을 등록 하거나 함께 첨부한 Chk_C.wim 과 같은 자리에 있어야 하며 PE_Booting.bat 를 열고 GUID부분을 바꿔준후 클릭 해주면 PE로 부팅 합니다. 위 배치파일은 거병 이전에 히+++님이 공개하신 스크립트를 활용한것 입니다. PE로 넘겨진후 마우스 우클릭 백업을 누르면 Chk_C.wim 이라는 정체 불명의 파일이 C:\Windows 폴더로 복사되며 PE부팅후 Chk_C.wim파일 유무를 체크 혹여 드라이브 문자가 바뀌어졌을 가능성에..

PE 관련 2019.12.28

암호 만료 메세지 Disable

1,불편 사항 친절 하게도 암호 관리까지 해주나 봅니다. 윈도우를 사용하던중 42일만에 있지도 않은 암호 바꾸라고 윈도우 사용자의 암호가 만료되었습니다. 라고 나오는데 2,해결 방법 gpedit.msc 실행 --Windows 설정--보안 설정--계정 정책--암호 정책--최대 암호 사용 기간 0 대량의컴, 실행파일 암호 없음 3,실행 하면 설정 되는 항목 두가지

윈도우 관련 2018.10.11

복구용 부팅 등록(우클)

**우클릭 메뉴에 PE등록 ** 정확한 날짜는 언젠지 기억은 안납니다만. 히이**님이 올려주신 1회용 부팅 배치파일 소스를 활용 해봅니다. 요즘은 뜸하시네요 자료를 정리 하다가 본것인데 2016_10_2 에 저장되었으나. 지금은 검색이 안됩니다. 암튼 복구용 PE부팅을 우클릭에 심어봤습니다. 준비물 : PE wim파일 (아무것이나) Bootice ,EasyBCD 그리고 히이**님 배치파일 우클릭 레지+아이콘 정정--배치파일 이름에 스페이스가 있었네요 이름을 공간없이 바꿔서 등록 해주세요 ( PE_Booting.bat ) 1, PE_wim파일을 다른드라이브 아무런 폴더에나 넣고 EasyBCD로 멀티 부팅을 등록 하여 등록 방법은 다들 아시는것이라 . 넘어가고요 대략. 2, Bootice를 실행하여 쉬운모드..

윈도우 관련 2018.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