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3

윈도우 상에서 윈도우 설치

OKR엔진으로 윈도우 상에서 윈도우를 설치해 보겠습니다. 설치 파일은 무봉인이 설치 과정이 간단해서 그것을 선택했습니다. 모든것은 원거리 원격 설치에 응용하기 위함입니다. 후속 조치를 위해 Anydesk를 사용하려고 미리 wim 파일을 7-Zip으로 열고 바탕화면에 장착해둡니다. 따라서 윈도우로 자동 설치되지 못하는 특별한 네트워크 드라이버는 Dism++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버 만큼은 통합해주고 실행하는것이 유리합니다. 간단한 통합 순서의 그림은 하단에... OKR엔진과 PE를 어쎔블리로 압축하여 클라우드나 NAS에 저장해두었다가 다운로드하여 미리 준비하면 될것입니다. 피원격지에 여분의 저장 장치가 없는 경우 파티션을 임시 축소하고 그파티션에 준비했다가 설치후 볼륨 확장하면 되겠죠? DISM_Bac..

윈도우 관련 2024.03.08

-DISM_OS OKR 아홉번째 PE 업데이트

인텔 13 세대 조건에서 NVMe M.2 인식이 안되는것을 보고 Intel_13TH_IRST를 통합했습니다. 기타 WinNTSup, 런처바에 드라이버 백업 등등 몇가지 추가 또는 수정했고요 통합은 KJ님 Queen 잉태? 구버전으로 했습니다. -DISM_OS만 아홉번째 PE 폴더에 내장된 boot.wim만 교체하면됩니다. 내용물은 Windows 10 System PE 이며 OKR 겸용이므로 wim파일만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기가*** 760M 시리즈에서만 NVMe M.2 인식을 확인해봤고 다른것에서는 못해봤습니다. 압축암호 있음 knm24xxxx

PE 관련 2024.03.06

OKR 엔진과 함께하는 PE (9)

복원 선택 진행시 C_Backup.wim파일이 없어도 무조건 PE로 부팅되어져서 PE상에서 wim 유무 체크가 되는 방식이라서 시간낭비가 되었었는데 C_Backup.wim 파일이 없으면 복원선택 진행시 실사용 윈동상에서 PE로 입문이 안되도록 막았으며 C:드라이브 라벨명이 일치해야하는데 지난번 여덟번째에서는 파일 부족으로 일치되지 않기에 로컬디스크로 포맷 되는것을 원래 이름과 일치하도록 했습니다. 그림 재활용 오타. 불칠요한--불필요한

윈도우 관련 2024.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