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3

MBR OS를 GPT로 변환 테스트

System32에 들어있는 mbr2gpt를 활용해봤습니다. OS가 MBR Legacy 방식으로 설치된것을 고스란히 GPT형식으로 변환해야하는 사정이 있으신가 봅니다. 유효성 검사 mbr2gpt /validate /disk:0 /allowFullOS gpt변환 mbr2gpt /convert /disk:0 /allowFullOS 사용할일이 얼마나 있겠습니까만. 첨부된 배치 파일 실행은 위 두가지 조합일뿐인데요 충분히 연습 해보고 사용하시길, 이글에서는 켑처를 위해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눠서 테스트 해봤습니다. 압축해서 다시 올립니다. 이제 메인보드에서 UEFI로 설정 해주고 부팅 하면 됩니다.

윈도우 관련 2021.02.17

윈포 suk님 TBI support(1)

이 글은 차후에 참고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작성된글입니다. ------------------------------------------------------------------------------------------ @echo off mode con cols=40 lines=7 echo. echo. 이 창을 닫지 마시기 바랍니다 rem 복원 후에 C:에 부팅 파일 bcd가 있는 경우만 활성 작업을 diskpart로 하기 위하여 TBI 복원 명령어에서 자동 재부팅 /rb:4 과 활성 작업 /a 을 제외함. start /wait "" "%IFX%" /r /d:w ~~~ if /i not exist C:\boot\bcd if /i not exist C:\EFI\Microsoft\Boot\bcd goto ..

PE에서 EasyBCD설정 유지 (팝업창 안열리도록)

그것 마데인knm After Service EasyBCD 처음 실행후 종료때 생기는 Easy Recovery Essentials 팝업창이 나타나서 눈엣가시처럼 상당한 고통이었는데 user.config를 집어 넣었어야 했네요 작은 용량 입니다. 그동안의 PE에서 닷넷관련 App들은 사용을 잘 안하다보니 이제야 파악하게 되었슴돠 역시나 칼있엄마~!님은 이미 적용하고 있었습니다. \boot.wim\Users\Default\AppData\Local\ 폴더에 하나 추가 해주세욥

카테고리 없음 2020.11.14

ventoy 테마 변경

Background는 suk님의 테마를 활용 했습니다. 굴림체 교체로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개인적인 소견) Ventoy Theme의 박스형 메뉴창을 아웃 시키고 . 배경에 바로 선택지가 보이고 선택항목은 녹색으로 보이도록 했습니다. Ventoy 타이틀은 그림판글씨 입니다. 맘에 안들면 Background.jpg를 교체 하시면 됩니다. 각cfg는 손대지 않았으므로 업데이트가 있으면 첨부된 파일을 덮어쓰기만 하면 될겁니다. 이런 테마로 해보고 싶다면. 설치된 파티션에 히든 파티션 풀어주고 덮어쓰기 하시면 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0.09.21

AIO_Boot_Extractor (1)

grub2를 잘알지 못합니다. 단지 짧은 기간이나마 활용해본 경험이 있을뿐, 지난글은 소개 였다면 이번글은 물주고 청소하고 가꿔온 결과물 스샷 입니다. 실사용 안하면서.... 쓸모 없는 메뉴는 삭제로 메인메뉴를 줄였고 , 가독성을 위해 굴림체 사용 폼생폼사 하단 진행바추가 하단메뉴 간소화 메인메뉴에만 아이콘 붙이고 핫키 0번 소거 등등등 인데 보기 싫진 않네요

카테고리 없음 2020.09.19

AIO 멀티 부팅 도구 만들기

(AIO_Boot_Extractor) 멀티 부팅도구를 소망하시는분들께 ..... PE(wim) VHD(vhd) 윈도 설치 (ISO) 파일을 마구잡이로 집어넣고 또는 본인이 구분 할 수 있는 폴더별로 저장하고 별도의 부팅등록 작업없이 아무것이나 선택 부팅하는 도구 만들기 입니다. 부팅 도구의 최대 단점 : 키보드 상하키와 엔터를 한두번 더 난타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 그래서 잘 사용치 않습니다. 필요한분을 위해 작성은 하지만요 부팅 도구의 image 준비물 : 1.빠른 저장장치 (SDD 또는 고속 USB) 2.BOOTICE 1, 먼저 SSD를 파티션을 날리고 BOOTICE로 파티션 작업을 합니다. 전체 용량중 대부분을 앞쪽에 NTFS로 300~500mb를 뒷쪽으로 하여 FAT32 파티션으로 나눔 ..

윈도우 관련 2020.09.11